top of page

박주리(@juripark07)


인어공주 이야기

(mixed media on canvas / 130.3×97.0)



Q. 작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꽃들에 관해서 이야기해 주세요.


- ‘어떤 꽃을 형상화했냐?’라는 질문을 관람객들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것 같아요. 사실, 제 작품에 표현된 꽃들은 익숙한 듯 처음 보는 꽃들일 거예요. 저의 상상으로 만들어진 꽃들이기 때문이에요. 꽃이 탄생한 것은 아주 사소한 습관 때문이었어요. 전화 통화를 하면서 종이에 낙서하는 습관이 있어요. 어느 날, 점들이 많이 찍혀 있던 노트에 점과 점을 연결하니 선이 되고, 선과 선을 연결하니 면이 되고, 면과 면을 연결했더니 형체가 되었어요. 이러한 낙서들이 반복되면서 제 작품을 대표하는 꽃이 탄생하게 되었어요.


Q. 점묘법으로 주로 작품을 제작하시던데, 작품에 사용하는 기법은 어떻게 되나요?


- 작품에 사용하는 도구에 따라서 기법은 조금씩 다른 것 같아요. 유화, 아크릴, 펜, 혼합재료를 주로 많이 사용해요. 특히, 아크릴, 펜과 혼합재료를 사용한 작품들은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어요. 펜으로 찍은 작은 점들은, 근처에 있는 점들이 하나의 덩어리처럼 보이거나 비슷한 색과 모양, 크기들이 반복적인 패턴으로 연속성을 보여주는 점묘법을 이용한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로 만들어진 기법이에요.




Dream Flowers

(mixed media on canvas /72.7×60.6)



Q. 대표작인 동화 시리즈 작품 설명 부탁드립니다.


- 어릴 때 동화책을 유난히 좋아했어요. 작품을 만들 때 누구나 알고 있는 스토리를 그림에 넣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Kiss Flower’라는 작품은 백설 공주 이야기에요. 작품을 잘 보면 백설 공주 이야기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표현되어 있어요. 마녀가 백설 공주를 죽이기 위해 독이 든 빗과 긴 끈, 독이든 사과를 중심으로 그림이 구성되어 있어요. 그 안에 공주와 왕자, 왕비를 표현하는 왕관과 일곱 개의 보석으로 일곱 명의 난쟁이를 표현하고 있어요. 그리고 배경에 깨진 거울 조각을 표현해서 권선징악 교훈을 넣었어요. ‘인어공주 이야기’작품도 인어의 지느러미 꼬리와 왕자가 타고 있던 기울어진 배를 달 모양으로 표현하였고 화려한 폭죽과 그들을 갈라놓는 악마 문어와 칼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인어공주 얼굴 가운데 다이아몬드 반지를 넣어 슬픈 결말을 행복한 결말로 재해석했어요. 이처럼 동화 시리즈는 작가의 재해석을 통해 작품을 보는 관객들에게 행복을 전달해 주려는 작가의 마음이 담겨 있어요.



Q. 작품 작업할 때 영감은 어디에서 얻나요?


- 작품의 영감은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어요. ‘언덕 위의 탑’이라는 작품은 8월 15일 광복절을 기념해서 러시아 사할린 ‘망향의 탑’을 보러 여행 갔을 때 영감을 얻었던 작품이에요. 고양이 언덕 위에 홀로 외롭게 서 있던 망향의 탑을 표현했어요. 망향의 탑 비문을 고양이 몸에 적어 그들의 슬픔을 위로해 주고 있어요. ‘Dream Taxi’ 작품은 친구와 전화 통화로 수다를 떨다 영감을 얻었어요. 노란 택시를 타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지나가는 모습을 떠올리며 그렸던 작품이에요. 이처럼 작품의 영감은 어디에서나 얻을 수 있어요. 여행, 꿈, 친구들과의 대

화 그리고 눈에 보이고 들리고 만질 수 있는 모든 감각으로도 얻을 수 있어요.


Q. 앞으로의 작품 활동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 작가에게 작품이란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라고 생각해요. 저는 캔버스에 그림을 그려서 세상에 나를 보여주고 있어요. 수많은 시간 속의 나의 삶의 일부분을 그림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는 거예요. 앞으로도 나의 일부분을 그림을 통해 보여드릴 거에요.






★. 수상경력

- 제27회 대한민국신조형미술전(입선)

- 제32회 대한민국미술대전(입선)

- 제08회 포스코불빛대전(입선)

- 제34회 신라미술대전(입선)

- 제35회 신라미술대전(특선)

- 제13회 대한민국아카데미미술대전(입선)

- 제30회 대한민국신조형미술대전(입선)

- 2013년 Flower Talk(First Story)개인전

- 2014년 아이리스단체전

- 2015년 아이리스단체전



★. 논문

- 시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반복 변형연구(석사학위논문, 2010.)

-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디지털 영상 제작 연구(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0.)

- 증강현실 기반의 인공지능이 적용된 에이전트를 위한 게임 시스템(한국콘텐츠학회, 2010.)


박주리 작가는 그림 ‘Story’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그녀만이 가진 Story가 존재한다. 관객들은 작품을 마주한 순간 각각의 해석으로 그림을 이해한다. 그런 의미에서 관객들도 작가와 함께 그림의 Story를 만들어가는 주체자가 될 수 있다.



bottom of page